서울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에 대해 총정리한 내용으로 빠르게 청년도약계좌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 하나면 쉽게 가입할 수 있으니 아래에서 가입 조건, 신청방법, 중위소득 등 꼼꼼히 읽어보시고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Toggle청년도약계좌란?

청년의 중장기적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정책 금융상품으로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만기 5년 동안 자유롭게 납입 가능한 상품입니다.
개인소득 수준 및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 지원 및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해서 부담스럽지 않고, 혜택도 좋으니 가능하면 꼭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단, 청년내일저축계좌,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이용자 중복 가입은 가능하며 단,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는 동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부산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자
개인소득 요건과 가구 소득 요건 충족하는 만 19세 ~ 34세 청년으로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하 대상입니다.
하지만 총 연 소득에 따라서 정부 기여금이 달라지며, 비과세 혜택은 동일합니다.
-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 시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 제공
- 연 소득 6,000만 원 초과 ~ 7,500만 원 이하의 경우 정부 기여금은 없으며,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비과세 혜택은 만기 시 이자 소득을 비과세하기 때문에 만기일에 온전히 적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은 청년들 대상이다 보니 많이 까다롭지 않습니다. 다만 중위소득에 따라 가입 여부가 판단되기 때문에 꼭 중위소득을 먼저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서울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는 6월 15일 ~ 23일까지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7월부터는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청년들이 관심이 많다 보니 원활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은행 홈페이지에서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별다른 어려움 없이 1 ~ 2분이면 신청이 가능하니 시간만 조금 내서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가구 소득의 경우 소득 확인을 위해 가구원 전원의 소득조회를 실시해야 하므로 가구원 전원 소득조회 동의를 받아야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그럼 모든 준비가 끝났다면 청년도약계좌 적금을 취급하는 은행 앱을 다운로드하여 신청하면 빠르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개인 연소득 | 최대 납입한도(월) | 납입한도(월) | 금리 | 지급이자(월) |
2,400만원 이하 | 70만원 | 4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70만원 | 50만원 | 4.6% | 2.3만원 |
4,800만원 이하 | 70만원 | 60만원 | 3.7% | 2.2만원 |
6,000만원 이하 | 70만원 | 70만원 | 3.0% | 2.1만원 |
7,500만원 이하 | 70만원 | – | – |
위 표를 보니 우리나라 청년 개인 연 소득은 보통 2,400 ~ 3,600만 원이하로 4 ~ 6%대 금리를 많이 적용받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정보를 드리자면 개인 연 소득이 3,600만 원 턱걸이라서 4.6% 금리를 지원받기 1년이 지나 3,600만 원이 초과될 경우 가입 시점에서 변경된 소득의 시점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으로 자동으로 전환됩니다.
청년도약계좌 만기 계산
- 한 달 월 70만 원 5년 적금 시 =700,000 X 60개월 = 42,000,000만 원
- 정부 기여금 21,000원 = 21,000 X 60개월 = 1,260,000만 원
- 이자율 6% = 43,260,000 / 6% = 6,405,000만 원
- 총 계 = 49,665,000원
위 계산은 개인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대상으로 월 70만원을 납입 시 받는 금액입니다. 따라서 본인 중위소득과 연소득을 확인 후 위 계산법을 똑같이 적용하여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를 신청 후 중도해지를 해야 할 상황이 올 수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중도해지 요건에 충족해야지 납입한 부분만 받을지,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특별 중도 해지 요건
- 가입자의 사망
- 해외이주
- 가입자의 퇴직
- 사업장의 폐업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생애최초 주택구입
위 7가지 요건 중 하나라도 충족해야지 납입금 외에도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중도 해지는 본인이 납부한 금액에 대해서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